|
더 밝고 에너지 효율이 뛰어난 LED 조명 사용으로, 연간 수억원의 전기요금 절감과 밝기 개선, 사고 예방까지 3가지 효과를 거두게 된 것이다.
남구는 5일 “도로 조명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주민들에게 안전한 보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정부 지침에 따라 도시 조명 노후 시설물 교체 사업을 진행해 관내 왕복 2차선 이상 도로의 가로등을 전부 교체했다”고 밝혔다.
도시 조명 노후 시설물 교체 사업은 지난 2011년 당시 정부에서 2020년까지 국가 전체의 LED 조명 보급률 60%와 공공기관 100% 달성을 목표로 ‘녹색 LED 조명 보급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본격화됐다.
광주광역시는 같은 해에 에너지관리공단과 손잡고 공공기관의 보안등과 가로등을 고효율 조명인 LED로 교체하는 사업을 추진했고, 광주 지역 자치구는 광주광역시로부터 사무를 위임받아 기존에 나트륨과 메탈등으로 설치한 가로등을 LED 조명으로 교체에 나섰다.
또 지난 2015년부터 전국 최초로 표준모델 LED 가로등을 만들어 확대 보급하기 시작했는데, 2014년 연말 기준으로 당시 남구 관내 도로 가로등 LED 교체율은 11% 수준에 불과했다.
남구는 이후 지난 2020년부터 5개년 계획에 따라 왕복 2차선 도로에 해당하는 도로 폭 12m 이상의 서문대로와 대남대로, 회재로, 용대로, 군분로 등 관내 75개 도로에 설치된 노후 가로등 7,531개를 LED 가로등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관내 노후 가로등 LED 교체율은 이같은 노력으로 2020년 연말 기준으로 60%까지 수직으로 상승했으며, 이후 2025년 7월까지 5년간 가로등 1,060개를 추가로 교체해 광주 자치구 중 유일하게 LED 가로등 100% 보급이라는 결실을 보았다.
이와 함께 도시 조명 노후 시설물 완전 교체로 가로등 운영 효율화를 꾀하면서 연간 3억 4,592만원에 달하는 전기요금도 절약하게 됐다.
남구 관계자는 “고효율 LED 가로등이 더 밝게 비춤에 따라 야간 차량 운행 및 보행 환경도 개선됐을 뿐만 아니라 각종 안전사고와 범죄 예방 효과도 기대된다”면서 “앞으로도 이면 도로 등 조명 인프라를 체계적으로 정비해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남구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박종수 기자 0801thebetter@naver.com